반응형
    
    
    
  
촌수 따지는 법
|  | 
| 5촌 | ||||||||||
| 현조부 (玄祖父) | ||||||||||
| | | ||||||||||
| 4촌 |  | 6촌 | ||||||||
| 고조부 (高祖父) | 종고조 (從高祖) | |||||||||
| | | | | |||||||||
| 3촌 |  | 5촌 | 7촌 | |||||||
| 증조부 (曾祖父) | 종증조 (從曾祖) | 재종증조 (再從曾祖) | ||||||||
| | | | | | | ||||||||
| 2촌 |  | 4촌 | 6촌 | 8촌 | ||||||
| 조부 (祖父) | 종조 (從祖) | 재종조 (再從祖) | 3종조 (三從祖) | |||||||
| | | | | | | | | |||||||
| 1촌 |  | 3촌 | 5촌 | 7촌 | 9촌 | |||||
| 부 (父) | 백숙부 (伯叔父) | 종백숙부 (從伯叔父) | 재종백숙부 (再從伯叔父) | 3종백숙부 (三從伯叔父) | ||||||
| | | | | | | | | | | ||||||
|  |  | 2촌 | 4촌 | 6촌 | 8촌 | 10촌 | ||||
| 나 (己) | 형,제 (兄,弟) | 종형제 (從兄弟) | 재종형제 (再從兄弟) | 3종형제 (三從兄弟) | 4종형제 (四從兄弟) | |||||
| | | | | | | | | | | | | |||||
| 1촌 | 3촌 | 5촌 | 7촌 | 9촌 | 11촌 | |||||
| 아들 (子) | 질 (姪) | 종질 (從姪) | 재종질 (再從姪) | 3종질 (三從姪) | 4종질 (四從姪) | |||||
| | | | | | | | | | | ||||||
| 2촌 | 4촌 | 6촌 | 8촌 | 10촌 | ||||||
| 손자 (孫) | 종손 (從孫) | 재종손 (從孫) | 3종손 (三從孫) | 4종손 (四從孫) | ||||||
|  | 
| 4촌 | ||||||||
| 고조 (高祖) | ||||||||
| | | ||||||||
| 3촌 |  | 5촌 | ||||||
| 증조 (曾祖) | 증대고모 (曾大姑母) | |||||||
| | | | | |||||||
| 2촌 |  | 4촌 | 6촌 | |||||
| 조 (祖) | 대고모 (大姑母) | 내재종조 (內再從祖) | ||||||
| | | | | | | ||||||
| 1촌 |  | 3촌 | 5촌 | 7촌 | ||||
| 부 (父) | 고모 (姑母) | 내종숙 (內從叔) | 내재종숙 (內再從叔) | |||||
| | | | | | | | | |||||
|  |  | 2촌 | 4촌 | 6촌 | 8촌 | |||
| 나 (己) | 자매 (姉妹) | 내종형제 (內從兄弟) | 내재종형제 (內再從兄弟) | 내3종형제 (內三從兄弟) | ||||
| | | | | | | | | | | ||||
| 1촌 | 3촌 | 5촌 | 7촌 | 9촌 | ||||
| 딸 (女) | 생질 (甥姪) | 내종질 (內從姪) | 내재종질 (內再從姪) | 내3종질 (內三從姪) | ||||
| | | | | | | | | | | ||||
| 2촌 | 4촌 | 6촌 | 8촌 | 10촌 | ||||
| 손녀 (孫女) | 이손 (離孫) | 내재종손 (內再從孫) | 내3종손 (內三從孫) | 내4종손 (內四從孫) | ||||
|  | 
| 4촌 | ||||||
| 외고조 (外高祖) | ||||||
| | | ||||||
| 3촌 |  | 5촌 | ||||
| 외증조 (外曾祖) | 외종증조 (外從曾祖) | |||||
| | | | | |||||
| 2촌 |  | 4촌 | 6촌 | |||
| 외조 (外祖) | 외종조 (外從祖) | 외재종조 (外再從祖) | ||||
| | | | | | | ||||
| 3촌 |  | 1촌 |  | 3촌 | 5촌 | 7촌 | 
| 이모 (姨母) | 모 (母) | 외숙 (外叔) | 외종숙 (外從叔) | 외재종숙 (外再從叔) | ||
| | | | | | | | | | | ||
| 4촌 | 0촌 | 4촌 | 6촌 | 8촌 | ||
| 이종형제 (姨從兄弟) | 나 (己) | 외종형제 (外從兄弟) | 외재종형제 (外再從兄弟) | 외3종형제 (外三從兄弟) | ||
| | | | | | | | | |||
| 5촌 | 5촌 | 7촌 | 9촌 | |||
| 이종질 (姨從姪) | 외종질 (外從姪) | 외재종질 (外再從姪) | 외3종질 (外三從姪) | |||
|  | 
| 촌수(寸數)란  | 
|  | 
|  | 
| ◇ 외조부를 부를 때 →외조부, 외할아버지 ◇ 외조부를 남에게 말할 때→외조부, 외왕부 ◇ 남의 외조부를 말할 때→외왕대인, 외왕존장 ◇ 외조부가 나를 부를 때→이름  ◇ 외조부가 나를 남에게 말씀하실 때 → 외손자, 외손녀 ☞외조모 : 촌수-2촌 ◇ 외조모를 부를 때 → 외조모, 외할머니  ◇ 외조모를 남에게 말할 때 → 외조모  ◇ 남의 외조모를 말할 때 → 외왕대부인  ◇ 외조모가 나를 부를 때 → 이름  ◇ 외조모가 나를 남에게 말씀하실 때 → 외손자, 외손녀 ☞이모부 : 촌수-3촌 ◇ 이모부를 부를 때 → 이모부, 이숙  ◇ 이모부를 남에게 말할 때 → 비이숙  ◇ 남의 이모부를 말할 때 → 귀이숙장 ☞이모 : 촌수-3촌 ◇ 이모를 부를 때 → 이모, 아주머니 ◇ 이모를 남에게 말할 때 → 비이모  ◇ 남이 이모를 말할 때 → 귀이모부인  ◇ 이모가 나를 부르실 때 → 이름  ◇ 이모가 나를 남에게 말씀하실 때 → 이질, 이질녀 ☞모 : 촌수-1촌 ◇ 어머니를 부를 때 → 어머니, 어머님 ◇ 어머니를 남에게 말할 때 → 모친, 자친, 노모 (사후에는 선비) ◇ 남의 어머니를 말할 때 → 대부인, 자당, 영당 (사후에는 선대부인, 선자당)  ◇ 어머니께서 나를 부르실 때 → 남 : 아들, 큰애, 작은애, 몇째애, ∼아비, 이름 / 여 : 딸, 큰애, 몇째애, 작은애, ∼어미, ∼집, 이름  ◇ 어머니께서 나를 남에게 말씀하실 때 → 남 : 가아, 돈아, 아들애, 자식놈 / 여 : 여아, 여식, 딸애, 딸년 ◇ 어머니께서 남의 자식을 말씀하실 때 → 남 : 영식, 자제, 아드님 / 여 : 영애, 따님  ☞외숙 : 촌수-3촌 ◇ 외숙을 부를 때 → 외숙, 외삼촌, 외아저씨  ◇ 외숙을 남에게 말할 때 → 비외숙, 비표숙  ◇ 남의 외숙을 말할 때 → 귀외숙, 귀표숙  ◇ 외숙이 나를 부르실 때 → 이름 ◇ 외숙이 나를 남에게 말할 때 → 생질, 생질녀 ☞외숙모 : 촌수-3촌 ◇ 외숙모를 부를 때 → 외숙모, 표숙모  ◇ 외숙모를 남에게 말할 때 → 비외숙모, 표외숙모  ◇ 남의 외숙모를 말할 때 → 귀이숙모, 귀표숙모  ◇ 외숙모가 나를 부르실 때 → 이름  ◇ 외숙모가 나를 남에게 말할 때 → 생질, 생질녀  ☞이종 : 촌수-4촌 ◇ 이종형을 부를 때 → 이종형, 이종사촌형  ◇ 이종형을 남에게 말할 때 → 비이종형  ◇ 남의 이종형을 말할 때 → 귀이종씨 ◇ 이종제를 부를 때 → 이종제, 이종사촌형  ◇ 여종제를 남에게 말할 때 → 비이종제  ◇ 남의 이종제를 말할 때 → 귀이종  ☞외종 : 촌수-4촌 ◇ 외종형을 부를 때 → 이종형, 표종형, 외사촌형  ◇ 외종형을 남에게 말할 때 → 비외종형, 비표종형  ◇ 남의 외종형을 말할 때 → 귀외종씨, 귀표종씨  ◇ 외종제를 부를 때 → 외종제, 표종제, 외사촌 동생 ◇ 외종제를 남에게 말할 때 → 비외종제, 비표종제  ◇ 남의 외종제를 말할 때 → 귀외종, 귀표종  | 
원본 : http://x2chi.byus.net/family.html
반응형
    
    
    
  '관심거리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| 일본 몰래카메라 (4) | 2007.12.29 | 
|---|---|
| 무재칠시 (無財七施) (3) | 2007.12.28 | 
| 연필은 왜 육각형인가? (0) | 2007.12.24 | 
| 병뚜껑의 톱니수 (1) | 2007.12.24 | 
| [대구광역시] 대구 야경 모음 (네이버 블로그 펌) (1) | 2007.12.20 |